본문 바로가기
마음 공부/성인 ADHD

성인 ADHD 증상: 주의력 부족, 나는 어떨까? 그냥 좀 산만한 사람 아닐까?

by 엄발자 2024. 12. 14.

성인 ADHD 증상: 주의력 부족

성인 ADHD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는 주의력 부족입니다. 오늘은 제 자신이 이 증상에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돌아보며 자아성찰(?)을 해보려 합니다. 주의력 부족은 크게 집중의 어려움, 실수 잦음, 정리정돈의 어려움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 항목별로 저의 경우에 어떤지, 그리고 그런 모습 때문에 수반되는 어려운 점들,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부분들도 같이 적어볼게요. 

집중의 어려움

  • 가정에서
    • 뒷정리를 자주 잊는다. 예를 들어 과자를 까서 아이들을 나눠준 후에 바로 아이들을 놀아주러 가면 과자 봉지는 식탁에 그대로 있음. 그러다가 나중에 발견하면 쓰레기통에 버림. 그전에 남편이 먼저 치우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 빨래를 접다가 장 볼게 생각나면 휴대폰으로 바로 장을 봄. 그래도 장 다 보고 나면 빨래를 다시 접음. 
    • 집안일을 할 때는 영상이나 음악을 틀어놓고 함. 근데 이건 지루하니까 다들 그러지 않을까?
    • 뭔가를 하고 있는데 아이들이 와서 말을 걸면 너무 헷갈림. 조용히 하라고 언성을 높일 때도 있음.
  • 회사에서
    • 지금 하고 있는 일 도중에 메신저나 메일이 오면 기존에 하고 있던 일은 그냥 두고 새로 들어온 일이나 메일을 확인해서 하는 경향이 있음. 근데 뭐가 급한 일일지 모르니까 다들 일단 확인해서 보지 않을까? 메일이나 메신저는 한창 일하는 도중이어도 거의 오자마자 확인하는 편이긴 함.
    •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은 어려운 업무는 빠르게 끝내놓는 편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일은 미루는 편임. 일을 너무 빨리하면 내가 일정을 조절할 수 없도록 업무량이 늘어날까 봐 페이스 조절상 그러긴 함.
    • 하던 업무가 급하지 않은 경우 딴짓을 만들어서 함. 동기들 몇 명에게 메신저로 말을 걸어두고 폰으로는 블로그에 사용할 사진을 편집하고 있다든지. 일이 많으면 빨리 끝내고 싶어서 마음을 졸이고, 일이 없으면 심심해서 미치겠음. 시간이 잘 안감.
    • 뭔가 설명을 들을 때, 동료가 정확하게 필요한 부분만 말하지 않고 장황하게(?) 설명하는 경우에는 "아 그건 제가 이해했고, 저는 이러이러한 부분이 궁금합니다"라고 말을 끊고 질문을
  • 일상에서
    • 드라마나 영상을 보는 경우에 진짜 재미있는 경우에는 빠져서 보지만, 그냥 심심풀이로 보는 경우에는 틀어놓고 그냥 보면서 폰으로는 숏츠를 계속 보고 카톡도 하긴 함.
    • 말이 좀 길어지면 멍때리게 됨. 특히 재미도 없는데 말 길게 하는 사람 싫어함. 남편이랑 이야기할 때도 남편이 대충 무슨 말하는지 알겠으면 알아들었으니 그만 말해도 된다고 함.

집중의 어려움으로 인한 영향과 노력

  • 가정에서
    • 남편이 저의 뒷정리를 대신하게 되어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큼.
    • 그러한 부분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남편이 지적하는 부분들을 처리하려고 노력(뒷정리를 잊더라도 나중에 보이면 바로 처리하는 등)
    • 아이들이 집중을 흩뜨러트린다고 언성을 높이는 경우 아이들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그러지 않도록 노력.
  • 회사에서
    • 업무 간 전환이 많게 되면 하나의 일에 집중하는 것보다 업무 효율이 떨어짐.
    • 딴짓을 하느라 쉽게 끝낼 수 있는 업무를 늦게 끝내게 됨.
  • 대인관계
    • 말이 길어질 때 말을 끊는 경우에는 상대방이 무시당한다고 생각하여 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
    • 말을 끊지 않고, 끊더라도 상대가 무안하지 않도록 노력.
  • 휴식부족
    • 쉬면서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한 번에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쉽게 소모됨.

실수 잦음

  • 코드를 수정하고 서버에 적용해 보려면 특정 파일을 원복 시킨 후에 빌드를 해야 하는데 그걸 자주 까먹음.
  • 코드 수정에 실수가 잦은 편인 것 같음. 하지만 나중에 발견하고 기한 안에 수정을 할 수 있어서 괜찮았음.

실수 잦음으로 인한 영향과 노력

  • 실수가 잦은 것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
    •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은 업무는 미리 처리하는 습관이 생김
    • 여러 번 체크하는 습관이 생김.

정리 정돈의 어려움

  • 가정에서
    • 물건을 자주 잃어버림. 특히 휴대폰. 구글 핸드폰 찾기를 하루에 3-4번 하는 것 같다. 조금 자주 잃어버리긴 함.
    • 물건들이 다 내 눈에 보이는 걸 좋아함. 그래서 바깥에 다 내놓는 편. 서랍에 넣으면 아예 어디 있는지를 잊고 다시 사게 됨.
    • 방금 꺼낸 물건을 어디에 뒀는지 몰라서 찾아다니는 경우가 있음.
    • 어린이집 등원할 때 어린이집 가방을 안 가지고 간다거나, 휴대폰을 놓고 간다거나 해서 다시 집에 올라오는 경우가 종종 있음.
  • 회사에서
    • 회사에서는 책상이 좀 정신없는 편임. 물건들을 대부분 밖에 꺼내두기 때문에 물건을 찾아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음. 

정리 정돈의 어려움으로 인한 영향과 노력

  • 집안이 정신이 없고 정리 정돈이 잘 되어있지 않는다.
    • 물건들이 바닥에 많은 경우 아이들이 놀다가 다칠 수도 있다.
    • 남편이 정리 정돈과 청소를 주로 하기 때문에 남편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 정리 정돈과 청소에 신경을 쓰도록 노력한다.
    •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바닥 정리를 한다. 완벽하게 할 생각보다는 일단 바닥에 물건이 없도록 유지하는데 힘을 씀.
    • 부분을 나눠서 꾸준히 정리 진행 중. 너무 한 번에 하려면 힘들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만큼씩만 꾸준히 정리를 하고 있다. 남편도 응원해 주고 도와주고 있음.
반응형